3분기 상장사 10곳 중 7곳 시총 하락했다....삼성전자·카카오·SK하이닉스 3곳만 77조 넘게 감소
3분기 상장사 10곳 중 7곳 시총 하락했다....삼성전자·카카오·SK하이닉스 3곳만 77조 넘게 감소
  • 문현지 기자
  • 승인 2021.10.13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XO연구소, 3분기 2336여 곳 시가총액 변동 현황 조사....3분기 시가총액 167조 감소
에코프로비엠은 5조원 넘게 증가하며 시총 10조 클럽 입성

국내 주식종목 10곳 중 7곳은 3분기에 시가총액(시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300곳이 넘는 주식종목은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167조 원 넘게 쪼그라들었다.

특히 시총 톱100에서만 130조 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 시총은 3분기에만 40조 원 가까이 가장 크게 줄었고, 카카오와 SK하이니스도 20조 원 정도 하락했지만 ‘에코프로비엠’은 3분기에 시총이 5조 원 넘게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13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전체 주식종목 2584곳 중 올해 상장되거나 우선주 등을 제외한 233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1년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 이들 2336곳 주식종목의 시가총액은 올 3월말 2411조 원에서 6월말 2604조 원으로 193조 원 증가했다가 9월말 2437조 원으로 다시 167조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6.4% 감소하며 올 3월말 수준으로 회귀했다.

올 3분기(6월말 대비 9월말) 시총이 감소한 곳은 조사대상 종목의 67.2%에 해당하는 1572곳이나 됐다. 주식종목 10곳 중 7곳 꼴로 최근 3개월 새 시총 덩치가 작아졌다는 얘기다.

◆삼성전자, 3분기 시총 39.4조 증발…카카오(19.8조)·SK하이닉스(17.8조 원) 10조 넘게 감소

3분기 시총 규모가 가장 크게 감소한 곳은 ‘삼성전자’로 파악됐다.

삼성전자의 올 1월초 시총 규모는 495조 원. 1월 11일에는 543조 원까지 시총이 증가했다.

이후 3월말과 6월말에는 각각 485조 원, 481조 원으로 연초보다 소폭 감소했다.

그러던 것이 9월말에는 442조 원으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3개월 새 시총은 39조 4000억 원(8.2%↓) 넘게 증발해버렸다.

올해 초와 비교하면 최근 9개월 새 삼성전자 시총은 53조 원(10.7%↓) 넘게 쪼그라든 것.

이는 올초 8만 3000원이던 삼성전자 종가가 9월말 7만 4100원으로 하락한 것이 시총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특히 이달 12일에는 삼성전자 종가(終價)가 6만 9000원까지 내려앉으며 시총 규모도 411조 원 수준으로 9월말 때보다 더 떨어졌다.

이를 올해 시가총액이 가장 높았던 지난 1월 11일(종가 9만 1000원) 때와 비교하면 무려 130조 원 이상 시가총액 차이를 보였다.

향후 삼성전자 주가가 6만 7000원 이하로 떨어질 경우 시총 400조 원대도 붕괴될 수 있는 상황에 직면한 셈이다.

올 2분기 때 시총 3위를 기록했던 카카오도 3분기에만 19조 8500억 원 넘는 시총이 사라졌다.

6월말 72조 3600억 원이던 것이 9월말 52조 5000억 원 수준으로 고꾸라졌다. 최근 3개월 새 27.4% 수준으로 시총이 급감했다.

국내 시총 넘버2 SK하이닉스도 6월말 92조 8200억 원에서 9월말 74조 9800억 원으로 3개월 새 17조 8300억 원(19.2%↓) 넘게 하락했다.

지난 2분기 국내 시총 톱3에 이름을 올렸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카카오 세 곳에서만 줄어든 시총 금액만 해도 77조 원을 넘어섰다.

여기에 현대차도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16.5% 수준인 8조 4300억 원(6월말 51조 1700억 원→9월말 42조 7300억 원)이나 증발했다.

LG계열사 3곳도 각 종목별로 시총이 5조 원 넘게 주저앉았다.

LG생활건강 6조 6300억 원(27조 5100억 원→20조 8800억 원), LG전자 5조 8900억 원(26조 7500억 원→20조 8600억 원), LG화학 5조 2200억 원(60조 원→54조 7700억 원) 수준으로 시총 하락의 쓴맛을 봤다.

3분기에만 시총이 1조 원 넘게 사라진 곳은 삼성전자 등을 포함해 모두 34곳이었다.

반면 시총이 1조 원 넘게 증가한 곳은 18곳으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3분기 기준 시총이 가장 크게 증가한 곳은 충북 청주에 법인 주소지를 두고 있는 2차 전지 관련주 ‘에코프로비엠’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종목의 6월말 시총은 4조 6400억 원대였는데 9월말에는 10조 2300억 원으로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5조 5800억 원 넘게 퀀텀점프했다.

시총 10조 클럽에도 올해 처음으로 가입했다.

역시 같은 2차 전지 관련 종목인 ‘엘앤에프’도 2조 5700억 원에서 6조 1800억 원으로 3분기에만 시총이 3조 6100억 원 넘게 수직상승했다.

시총이 2조 원 넘게 증가한 곳은 4곳 더 있었다.

포스코케미칼 2조 5562억 원(6월말 11조 1547억 원→9월말 13조 7100억 원), 에이치엘비 2조 4806억 원(3조 5427억 원→6조 234억 원), 삼성바이오로직스 2조 1834억 원(55조 6447억 원→57조 8282억 원), 한국비엔씨 2조 1071억 원(4101억 원→2조 5173억 원) 순으로 3개월 새 시총 덩치가 커졌다.

◆시총 1조 클럽 중 3분기 시총 증가율 100% 넘는 곳은 6곳…한국비엔씨 513%로 가장 높아

3분기 기준 시총 1조(兆) 클럽에 가입한 267곳 중 최근 3개월 새 시총 증가율이 배(倍) 이상 되는 곳은 6곳으로 조사됐다.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곳은 제약 관련 업종인 ‘한국비엔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종목은 3분기에만 시가총액이 513.7%나 상승하며 1조 클럽 중 시총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이런 영향으로 한국비엔씨 최대주주 최완규 대표이사의 주식재산도 6월말 1036억 원에서 9월말 기준 6363억 원으로 두둑해졌다.

의료용품 제조사인 ‘바이오니아’도 203.5% 수준으로 시총이 3개월 새 크게 올랐다.

앞서 주식종목은 6월말 5415억 원에서 9월말 1조 6437억 원으로 3분기에만 시총이 1조 1000억 원 넘게 높아졌다.

‘엘앤에프’도 같은 기간 시총 증가율이 140.4%를 보였다.

이중 한국비엔씨, 엘앤에프는 법인등록 주소지가 대구광역시이고, 바이오니아는 대전광역시인 것으로 조사됐다.

3분기에 시가총액 금액이 가장 많이 오른 ‘에코프로비엠’도 시총 증가율이 120.2%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코프로비엠과 같은 계열사인 ‘에코프로’ 역시 8462억 원에서 1조 8476억 원으로 118.3%(1조 14억 원)로 고공행진했다.

2차 전지 관련주인 ‘대주전자재료’도 7416억 원에서 1조 5666억 원으로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112.2%(8249억 원)나 상승 곡선을 그리며 시총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 9월말 시총 톱100 중 92곳 순위 교체…10곳은 3분기에 시총 100대 기업에 신규 진입

9월말 기준 국내 시총 톱100 중 92곳이 최근 3개월 새 순위가 교체됐다.

이중 톱10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2분기 때와 마찬가지로 시총 1, 2위를 유지했고, LG화학(5위)·셀트리온(9위)·기아(10위) 세 곳도 2분기 때와 같은 시총 순위를 3분기에서도 지켜냈다.

시총 상위 10곳 중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두 계단(6위→4위), 네이버(4위→3위)와 삼성SDI(8위→7위)는 각 한 계단씩 전진했다.

이와 달리 카카오는 세 계단(3위→6위)이나 가장 많이 후퇴했고, 현대차도 3분기 시총 순위가 한 계단(7위→8위) 뒷걸음질 쳤다.

9월말 기준 시총 톱10 중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SDI 두 곳을 제외하면 8곳 모두 시총 규모가 2분기 대비 떨어졌다.

이들 8곳에서 최근 3개월 새 사라져버린 시총 금액만 해도 100조 원을 넘었다.

최근 3개월 새 톱100에 새로 가입한 곳은 10곳이나 됐다.

10곳 중 1곳 꼴로 시총 상위 100곳이 물갈이 된 셈이다.

6월말 대비 9월말 시총 순위가 급등한 곳은 ‘엘앤에프’였다.

이 회사는 6월말 시총 순위가 137위였는데 9월말에는 54위로 껑충 뛰었다. 3분기에만 시총 순위가 83계단이나 앞섰다.

이외 △메리츠금융지주 51계단(6월말 126위→9월말 75위) △메리츠화재 47계단(141위→94위) △한솔케미칼 41계단(129위→88위) △OCI 36계단(128위→92위) △일진머티리얼즈 32계단(104위→72위) △KCC 26계단(119위→93위) △한국가스공사 26계단(103위→77위) △GS리테일 23계단(122위→99위) △두산퓨어셀 7계단(107위→100위) 순으로 올 3분기 시총 톱100에 신규 가입했다.

반면 휠라홀딩스는 6월말 99위에서 9월말 137위로 38계단 하락하며 올 3분기 시총 톱100에서 빠졌다.

이외 △신풍제약 41계단↓(73위→114위) △효성티앤씨 38계단↓(89위→127위) △현대오토에버 34계단↓(94위→128위) △씨젠 34계단↓(77위→111위) △대우조선해양 29계단↓(91위→120위) △한미약품 20계단↓(84위→104위) △CJ ENM 18계단↓(87위→105위) △알테오젠 13계단↓(100위→113위) △호텔신라 8계단↓(93위→101위) 등으로 시총 톱10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올 3분기에는 시총 상위 100곳 중 59곳이나 2분기 대비 시가총액이 감소하며 국내 주식시장은 다소 위기를 맞았다”며 “전반적으로 매출 등의 실적 지표는 나쁘지 않은 상황에서 주가는 실적과 반대로 움직이고 있는 것은 그만큼 국내외 투자자들이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불안감 등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