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새 1.6만명 감소" 쪼그라드는 금융권 일자리… 은행의 일자리 창출력은 직접 10.1만명
"4년새 1.6만명 감소" 쪼그라드는 금융권 일자리… 은행의 일자리 창출력은 직접 10.1만명
  • 문현지 기자
  • 승인 2019.11.17 14: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위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업 일자리 대응방향'
개별은행 대신 업계실적 발표…대출 통한 효과도 1.3만명 추산
직접고용 비중은 영업 70.6%, 비정규직 8.6%, 여성 50.5%

금융업 일자리가 계속 줄어들고 있다.

금융회사에 재직하는 임직원 수가 지난 4년간 1만6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뱅킹 등 비(非)대면 거래가 느는 추세와 맞물린 현상으로 풀이된다.

또 은행권이 직·간접적으로 고용한 인원은 13만2000명 선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업 일자리 대응방향'에 따르면 금융회사 취업자수는 지난 2015년 40만명에서 2018년 38만4000명으로 1만6000명 감소했다. 감소추이는 3년째 이어졌다.

은행은 13만8000명에서 12만4000명으로 1만4000명 대폭 쪼그라들었고 보험·금융투자·여전업 등 비은행권은 26만2000명에서 26만명으로 2000명 감소했다.

보험·상호금융 등은 감소한 가운데 금융투자업권은 2015년 4만4000명에서 지난해 4만8000명으로 유일하게 증가했다.

설계사·모집인도도 2015년 47만2000명에서 지난해 44만7000명으로 2만5000명 줄었다.

다만 대리점(GA) 소속 보험설계사는 23만500명에서 24만4000명으로 9000명 늘었다.

금융당국은 ▲비대면거래 증가에 따른 전통적인 판매채널 인력 수요 감소 ▲금융회사 인력수요의 구성 변화(인문‧사회→IT) ▲저금리·고령화·핀테크 등에 대응하기 위한 인력수요 증가 ▲보험설계사 및 대출‧카드모집인의 고용변동 가능성 등을 고용감소의 배경으로 꼽았다.

지난 8월 열린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 현장.
지난 8월 열린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 현장.

국내 은행의 경우(국책은행과 인터넷은행 제외) 지난해 말 기준 직접 고용한 인원은 10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또 콜센터나 경비와 같은 연관산업을 통해 3만1000명의 인원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고용 감소 추세이지만 지난해 시중·지방은행 신규채용(6088명)은 2017년(4748명)보다 늘었다.

고용 인원 측정 대상이 된 은행은 KB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KEB하나은행·NH농협은행·수협·SC제일은행·씨티은행 등 8개 시중은행과 6개 지방은행이다. KDB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인터넷전문은행 등은 빠졌다.

직접 고용 인원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11만2000명을 찍은 이후 감소 추세를 보인 뒤, 10만1000명 선을 2017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이어갔다.

직접 고용된 인원들의 직무를 살펴보면 영업부문이 70.6%를 차지해 전체 인력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경영지원 7%, 정보통신(IT) 4.4%, 상품개발 4.2%, 경영전략 1.8% 순이었다.

은행 연관산업의 경우에는 2017년 3만명에서 지난해 1000명 가량 고용이 늘었다. 전체 연관산업 고용 인원 가운데 콜센터 등 민원대응 인력이 20.9%, 경비 등 보안 인력이 20.5로 많았다. 이어 IT 13.9%, 대출·카드모집인 11.9%, 채권추심 2.7% 순이었다.

은행권의 대출을 통해 발생한 추가 고용 인원은 1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신규 기업대출 취급액이 206조1000억원 가량으로 집계됐는데, 대출 10억원당 0.065명의 고용이 늘어난다고 가정했을 때 이같은 인원 집계가 나왔다. 다만 금감위는 "과거 분석결과를 인용한 것"이라며 "대출 증가에 따라 고용이 늘어나는 것과의 인과관계는 연결짓기 어려울 수 있다"고 설했다.

당초 금융위는 개별 은행별로 자체 일자리 기여도와 간접적 일자리 창출 기여도를 살펴볼 계획이었다. 하지만 대출을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이 불분명함에 따라 개별 은행 대신 전체 은행 일자리 창출 효과만 제시했다.

금융당국은 향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응방향으로 ▲지속적 진입규제 완화를 통한 금융권 일자리 창출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한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지원 ▲금융회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IT와 핀테크 관련 교육 ▲고용노동부 전직지원 서비스 활용해 한 금융권 내 이직·전직 지원 확대방안 검토 ▲벤처·혁신부문 성장 지원을 통한 실물경제 일자리 창출 지원 ▲청년 창업인프라 구축, 정책자금 지원을 통한 창업기회 확대 ▲취약부문에 대한 자금공급 확대 등을 제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