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계 "올 하반기 코로나 2차 대유행으로 '더블딥' 예상....경제 정상화는 2년 이상 소요"
세계 경제계 "올 하반기 코로나 2차 대유행으로 '더블딥' 예상....경제 정상화는 2년 이상 소요"
  • 윤화정 기자
  • 승인 2020.06.07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련, 미·일·독 등 주요 18개국 경제단체 대상 ‘포스트 코로나 세계 전망’ 조사
올해 경제성장률 –4% 이하 전망....국가간 이동 내년 이후 가능할 것
리쇼어링 강화 등 글로벌 가치 사슬 변화 전망

세계 경제계가 올 하반기 코로나 2차 대유행에 따른 세계경제 더블딥 우려와 함께 아시아의 부상을 예상했다.

이같은 전망은 7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전세계 주요 18개국 대표 경제단체 및 국제기구·경제협의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A.D.(After Disease) 1년, 포스트-코로나 세계 전망’ 분석결과이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경제 회복 예상 양상에 대해 각국 경제단체들은 올 가을·겨울 코로나 2차 대유행과 이로 인한 2차 락다운을 예상하는 더블딥(W자형) 시나리오를 가장 많이 꼽았다(52%).

이로 인해 2022년 하반기가 되어서야 세계경제가 완전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에 대해서는 응답국가의 52%가 –4% 이하의 마이너스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해 IMF의 올해 세계경제성장률 –3% 예측 보다 비관적으로 본다는 것이 우세하다.

자국의 실업률에 대해서도 –10% 이하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40%에 달했다.

국제이동이 제한되고 언택트 경제가 확산되는 현 상황에서 대면 비즈니스가 가능해지는 시점은 내년 이후가 될 것으로 보는 시각은 56%로 절반 이상이었다.

올해 하반기 내 국가 간 이동 가능할 것이란 응답은 24%에 불과했고 반면 불확실성으로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응답도 20%에나 달했다.

WTO 대신 신무역체제 도입 가능성…북미‧EU 추락, 아시아 도약 전망

세계 각국은 코로나19 이후 기존 통상체제의 지각변동을 전망했다.

약 40%의 국가가 북미·유럽이 경기침체에 직면하는 한편, 아시아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도약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1995년 이후 세계경제질서를 이끌어 온 WTO 체제 기반의 기존 통상환경이 파괴되는 역사의 변곡점이 도래했다는 응답도 31.3%를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다자무역 중심 국제 통상의 변화에 대해 응답 국가의 절반은 지역별 경제블록 중심으로 세계무역질서 판도가 재편되면서 결과적으로 WTO를 무력화(48%)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WTO를 대체·보완하는 새로운 무역협정기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20%에 이르렀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세계 각국이 중국 등 해외생산기지 의존도를 줄이는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이 가시화하는 가운데 응답 국가의 76%는 자국 산업계에서 중간 이상의 리쇼어링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봤다. 코로나 이후 글로벌 가치 사슬의 변화가 더욱 뚜렷해 질 것으로 예측한 것이다.

산업 생태계 재편 생존 위해 노동유연화 필수적

코로나19 이후 고용정책에 대해서는 산업 생태계 재편에 따른 구조조정을 위해 ‘고용 안전망 확충 및 노동 유연화(56%)’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산업재편에 대응하는 직업훈련 및 재교육 강화(24%)’로 고용시장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응답국가의 56%는 현재 전 세계적 인력 감축이 록다운 기간 동안의 한시적 현상으로 경제 재오픈 시 점차적으로 고용이 회복될 것이라는 답했다. 이는 ‘1년 이상 장기적인 대규모 인력감축과 실업’(20%), ‘본격적이고 전면적인 생산 자동화·무인화 시대로의 전환’(8%)보다 많아 다소 희망적인 전망을 보였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기업들과 접촉이 많은 주요국 경제단체에서 느끼는 코로나19 경기침체 체감이 예상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코로나 이후 세계경제에서 아시아의 부상을 세계경제계가 예측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이 선두에 나설 수 있도록 우리 기업과 정부에서는 글로벌 산업재편에 대한 대비를 해야할 것”이라며, “그간 지적돼왔던 성장 저해요소 타파와 기업환경 개선, 세계경제단체가 공감하는 노동유연화 실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