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 25.1..... 청년 5명 중 1명꼴 ‘사실상 실업 상태’
올 상반기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 25.1..... 청년 5명 중 1명꼴 ‘사실상 실업 상태’
  • 문현지 기자
  • 승인 2022.11.13 2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련,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 추이' 분석
4년간 대졸자 223만명 쏟아졌는데, 고학력 일자리 126만개 증가에 그쳐
청년지출비중 큰 ‘교통’(11.7%↑), ‘음식‧숙박’(7.3%↑) 등 비용 급등에 부담 가중

올해 청년 취업난과 물가 급등으로 전 연령대 중 청년들의 체감경제고통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아직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한 경제고통지수(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합해 산출)를 재구성해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 올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는 25.1로 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2019년 23.4)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급격한 물가상승이 청년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이끌었다.

올 상반기 기준 청년 물가상승률은 5.2%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0.5%)의 10배 수준에 달했다.

여기에 얼어붙은 취업시장도 경제적 어려움을 더했다.

올 상반기 기준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다.

2019년(22.9%)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다른 연령대에 비해 월등하게 높았다.

이어 ‣60대(11.3%), ‣30대(9.5%), ‣50대(8.7%), ‣40대(7.9%) 순으로 분석됐다.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이 청년 취업난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4개년간(2017~2020년) 배출된 대졸자는 223만4000명인데 반해, 신규 고학력 일자리는 126만4000개로, 대졸자 규모의 약 57% 수준에 그쳤다.

산업구조의 고도화 흐름 속에서 기업들의 이공계 인재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인문계열 졸업자들의 취업문은 더 좁아지고 있다.

실제로 기업들이 올해 하반기 채용하기로 계획한 인원 10명 중 7명(67.9%)은 ‘이공계열’ 졸업자가 차지했다.

반면 전국 4년제 일반대학 졸업자 중 ‘이공계열’ 비중은 2020년 기준 10명 중 4명꼴(37.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노동시장의 인력수급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전공과 무관하게 취업하는 청년 비중이 절반 이상에 달할 정도로 청년들의 취업 기회가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1~3분기 평균 기준 지출목적별 물가상승률을 보면, ‣교통(11.7%), ‣음식 및 숙박(7.3%),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5.9%), ‣기타 상품 및 서비스(5.5%)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부문은 전체 물가상승률(5.0%)보다 높았다.

청년들이 체감하는 물가상승이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데에는 청년들의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음식‧숙박’(21.6%), ‘교통’(12.0%), ‘식료품’(8.5%) 등의 가격 상승이 주 원인으로 작용했다.

전경련은 “올해 청년들이 소비를 많이 하는 부문에 물가 상승이 집중되면서 취업 준비 중이거나 소득이 적은 사회초년생인 청년들이 생활비 상승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해 대출금리가 동반 상승하면서 청년들의 재무 건전성이 불안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4년간(2017~2021년) 청년층(29세 이하 가구주) 부채 증가율은 48.3%로, 전체 부채 증가율(24.0%)의 2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은 34.9%로, 전체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23.5%)의 1.5배 수준이었다.

청년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2017년 24.2%에서 2020년 32.5%까지 증가했다가 지난해 29.2%로 줄었지만, 여전히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전경련은 “사회초년생인 청년들은 주거 마련을 위한 전세대출 비중이 높고, 지난 증시 및 부동산 활황기에 다수의 청년들이 과도하게 빚을 내서 투자를 하거나 집을 매수하는 등 채무 부담이 이미 높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 연말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청년들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경련은 우려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지속되는 청년 취업난에 급격한 물가상승까지 더해져 청년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면서, “규제 혁파,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고용유연성 확보 등으로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민간 일자리들이 많이 만들어질 수 있는 고용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